초연함
유학을 재수하는 친구, 유학을 준비하는 후배, 그리고 유학을 가는 나, 이 셋이 모이면 화제거리가 뭐가 될까?
당연히(?) 유학, 그래 유학이다.
각자의 복잡한 감정과착잡한현실적 고민이 대화 안으로 들어온다.이건 좀 꼬인거다라고 생각하면 편할까.그러나 이런 나의 발언은 오해받기 쉬울 것이다. 요지는 the final instance가 바로 '자기'라는 것이다.
가끔 그 친구들이랑쓸데 없이 우울해지는 상황이 답답해서 이런 말을 한다.
파스칼의 말처럼 난 여기에 있고저기에 있지 않은 것인지.
넉넉치 못하여 유학이라는 것이 혹여 공연한 희망사항으로 그치는건 아닐까라는,서럽지만현실적인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그럼 난 무엇을 해야 할까? 유학에 대한 소망이 진정 내것인지 고민한 적도 있었다. 어디 나만 그러했을까. 다만 길수형이 나에게 여러번 얘기했고 내가 그래서 간혹 상기하는것은위기지학爲己之學이라는 말이다.
그것을 염두해두지 않은채 여러 현실적 편리를 앞세우는것은 순서가 뒤바뀐 것이다.
그렇기는 하나 한편으로 "나"를 발견하고 위하는 것은고집있는 사람들의 몫이라는 생각도 든다.
가끔은 내가 아니어도 될 때가 있다.
세상에는 이런 아이러니가 있는 거 같다.
즉, 내가 무슨 일을 하던 간에 세상은 거기에 대해 무관심한 것이다.
브뤼겔의 그림이 보여주듯, 이카루스가 바다에 떨어져 죽는 날에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는지 천지 운행은 제 시간대로 움직이고 농부는 제 할일을 따라 밭을 갈고 뱃사람은순풍에 돛을 달고 망망대해를 건넌다.
아무튼, 내가뭐 하나 잘났다고, 못났다고 세상이 뒤바뀌지는 않는다.세계는 나보다 훨씬 크다.
오, 이 무사안일!
어깨에 힘을 빼고 가볍게 가자.
그리고 내가 즐거울 수 있는 시간을 보내자.
Musee des Beaux Arts
About suffering they were never wrong,
The Old Masters: how well they understood
Its human position; how it takes place
While someone else is eating or opening a window or just walking dully along;
How, when the aged are reverently, passionately waiting
For the miraculous birth, there always must be
Children who did not specially want it to happen, skating
On a pond at the edge of the wood:
They never forgot
That even the dreadful martyrdom must run its course
Anyhow in a corner, some untidy spot
Where the dogs go on with their doggy life and the torturer's horse
Scratches its innocent behind on a tree.
In Breughel's Icarus, for instance: how everything turns away
Quite leisurely from the disaster; the plowman may
Have heard the splash, the forsaken cry,
But for him it was not an important failure; the sun shone
As it had to on the white legs disappearing into the green
Water; and the expensive delicate ship that must have seen
Something amazing, a boy falling out of the sky,
Had somewhere to get to and sailed calmly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