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무엇일까요?

눈이 많이 와서

산엣새가 벌로 나려 멕이고

눈구덩이에 토끼가 더러 빠지기도 하면

마을에는 그 무슨 반가운 것이 오는가보다

한가한 애동들은 어둡도록 꿩사냥을 하고

가난한 엄매는 밤중에 김치가재미로 가고

마을을 구수한 즐거움에 사서 은근하니 흥성흥성 들뜨게 하며

이것은 오는 것이다.

이것은 어늬 양지귀 혹은 능달쪽 외따른 산 옆 은댕이 예데가리 밭에서

하로밤 뽀오햔 흰김 속에 접시귀 소기름불이 뿌우현 부엌에

산멍에 같은 분틀을 타고 오는 것이다.

이것은 아득한 녯날 한가하고 즐겁든 세월로부터

실 같은 봄비 속을 타는 듯한 녀름볕 속을 지나서 들쿠레한 구시월 갈바람 속을 지나서

대대로 나며 죽으며 죽으며 나며 하는 이 마을 사람들의 으젓한 마음을 지나서 텁텁한 꿈을 지나서

지붕에 마당에 우물 둔덩에 함박눈이 푹푹 쌓이는 여늬 하로밤

아베 앞에 그 어린 아들 앞에 아베 앞에는 왕사발에 아들 앞에는 새끼사발에 그득히 사리워오는 것이다.

이것은 그 곰의 잔등에 업혀서 길여났다는 먼 녯적 큰 마니가

또 그 집등색이에 서서 자채기를 하면 산넘엣 마을까지 들렸다는

먼 옛적 큰 아바지가 오는 것같이 오는 것이다.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은 무엇인가

겨울밤 찡하니 닉은 동티미국을 좋아하고 얼얼한 댕추가루를 좋아하고 싱싱한 산꿩의 고기를 좋아하고

그리고 담배 내음새 탄수 내음새 또 수육을 삶는 육수국 내음새 자욱한 더북한 삿방 쩔쩔 끊는 아루궅을 좋아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이 조용한 마을과 이 마을의 으젓한 사람들과 살틀하니 친한 것은 친한 것은 무엇인가

이 그지없이 枯淡하고 素朴한 것은 무엇인가

-------------------------------------------------- 정답은 국수

백석도 나만큼 국수를 좋아하였나보다. 위 시는 백석의 "국수"라는 시 전문이다. 유종호 선생 말대로 무슨 스무고개 놀이 하는 거 같은 재밌는 시다.

나는 국수를 가리지 않고 좋아한다. 칼국수, 잔치국수, 팥국수, 메밀국수를 좋아하고 다른 면음식도 좋아한다. 냉면, 쫄면, 짜짱면 등등. 아마 국수를 좋아하는 데에는 백석이나 나나 내력이 있을 듯 싶다.

어려서 김제 외가댁에 맡겨져 있을 때에는먹는 음식이 거의 흰밥에 푸성귀 따위였다. 외가가 평야지대의 시골이다보니이렇다할 대단한 먹거리를 찾기란예나 지금이나 힘드리라.찬거리를 사러 그 시골서 장에 갈리 만무하다. 대신닭을 쳐 거기서 달걀을 얻고, 집 앞뒤로 있는 밭에서배추, 무, 가지, 오이, 고추, 깻잎, 호박, 호박잎, 상추, 고구마순 따위를 뜯어오면 바로 반찬이 된다.물릴만도 하겠다만 그래도 난 열심히 먹어 그 때도 통통했다.

기철이란 동생친구가 있어 걔네 할아버지가 가꾸는 무밭에서 생무를 또끼마냥 뜯어먹은 기억은 지금도 생생하다.

외할아버지는참으로 음식에 대해 가리는 것이 없으셨던 분이다. 대신 생선이나 젓갈을 좋아하셔서 밥상에 꼬막이나 황새기젓, 간장 게장(전라도 말로 '기젓'), 새우젓등은번갈아가며 항상 올라왔다. 나 역시 음식에그리 까탈스러운 편은 아니지만 어린 아이가 비린내 풍기는 그 짭조롬한 맛에 익숙해지기는 힘들었던 거 같았다.

심포라는어항과 새만금 갯벌을 지척에두고 있어서 집집마다 대나무로 만든 낚시랑 꼬막캐는도구가 다 있었다. 하여 신작로 땅바닥은부서진 조개나 꼬막 껍질로 자연스레 모자이크가 되었는데 근래 가보니 어떤 큰 길들은 다포장되어 있더라.

어머니도 처녀 시절엔 또래 분들이랑갯벌에 나가 꼬막을 캐셨고 꽃게 장수가 오면보리 한됫박에 대야 한가득히 담아주는꽃게를가지고 그 많은식구들이푸짐히 잡수셨다고 한다.

못먹고 자란 것은 아니지만 식단은 그래도 단조로웠다. 그런데 이벤트가 생긴다. 그게 바로 우리 외할머니가팥국수나 칼국수를 해주실 때이다. 밀가루를 반죽하여 공같이 뭉쳐놓았다가방망이(이 도구 이름이안떠오른다)같은 것으로 원판이 생기도록 밀어 거기에 밀가루를 약간 뿌리고다시 몇겹으로 접어 썰면 면발이 생겨난다.그 다음엔 맹물에 소금, 파, 간장, 마늘(?) 같은 것만 넣은 채 끓이면 걸죽한 칼국수가 되는 것이다. 팥국수는팥을삶아생긴 국물에 면을 집어 넣고더끓이기만 하면 되는 것인데, 거기에 설탕을 넣어 먹으면더 맛이 있었다. 팥국수라 하였지만 외갓집 식구나 나나 이런 팥국수는 조그만 새알같은 찹쌀 반죽을 넣은 팥죽과 구분치 않고 그냥 다 팥죽이라고 지금도 부른다.(성경에 보면 야곱이 형 에서에게 장자의 명분을 사기 위해 죽을 주는데 나의 상상력으로 그 죽은 팥죽이었을 거라는 짐작은 이런 경험에서 생겨난 것이다.)

서울서 바지락 칼국수집이 많더라만 그런 조합은 내 외가 음식의 조리법에 없다. 국물도 따로 미리 만들지만 이것도 다르다.

국수를 좋아하는 까닭은 우선 거기에 깃들인 맛으로 설명을 해야 하겠지만, 일종의 추억이 거기에 서려 있는 것도 맞다.

이를테면매일 밥만 먹다 가끔 맛보는 밀가루 음식에서 별다른 맛을 찾았고 그것이 내 식성에 들어맞은 것이겠다만(그러나 나는 수제비는 별로 안좋아한다.) 외할머니가 이모들이랑 음식을 만들 때 온 집안이음식의 기운으로 부산해지고 그런 흥겨움이 어린 내 마음에 어떤 신바람을 불어넣었으리라.

그래서 난 지금도 집에 내려가면 어머니에게 칼국수를 해달라고 졸라댄다.


'우엉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나 영화처럼  (0) 2006.07.16
음악회는 하나의 의식(ritual)이다  (4) 2006.07.09
알려드립니다  (10) 2006.06.30
초연함  (0) 2006.06.12
Somewhere Out of Here  (1) 200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