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야古夜
아배는 타관 가서 오지 않고 山비탈 외따른 집에 엄매와 나와 단둘이서
누가 죽이는 듯이 무서운 밤 집뒤로는 어늬 山골짜기에서
소를 잡어먹는 노나리꾼들이 도적놈들같이 쿵쿵거리며 다닌다
날기멍석을 져간다는 닭보는 할미를 차 굴린다는
땅아래 고래 같은 기와집에는 언제나 니차떡에 청밀에 은
금보화가 그득하다는 외발 가진 조마구 뒷山 어늬메도
조마구네 나라가 있어서 오줌누러 깨는 재밤 머리맡의
문살에 대인 유리창으로 조마구 군병의 새까만 대가리
새까만 눈알이 들여다보는 때 나는 이불속에 자즈러붙어 숨도 쉬지 못한다
또 이러한 밤 같은 때 시집갈 처녀 막내고무가 고개너머 큰집으로
치장감을 가지고 와서 엄매와 둘이 소기름에 쌍심지의
불을 밝히고 밤이 들도록 바느질을 하는
밤 같은 때 나는 아릇목의 삿귀를 들고 쇠든밤을 내여
다람쥐처럼 밝어먹고 은행여름을 인두 불에 구어도 먹고
그러다는 이불 우에서 광대넘이를 뒤이고 또 누어 굴면서 엄매에게
웃목에 두른 평풍의 새빨간 천두의 이야기를 듣기고 하고
고무더러는 밝는 날 멀리는 못 난다는 뫼추라기를 잡어달라고 조르기도 하고
내일같이 명절날인 밤은 부엌에 쩨듯하니 불이 밝고
솥뚜껑이 놀으며 구수한 내음새 곰국이 무르끊고 방안에서는
일가집 할머니가 와서 마을의 소문을 펴며 조개송편에 달송편에 죈두기송편에
떡을 빚는 곁에서 나는 밤소 팥소 든 콩가루소를 먹으며
설탕 든 콩가루소가 가장 맛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얼마나 반죽을 주무르며 흰가루손이 되여 떡을 빚고 싶은지 모른다
섣달에 냅일날이 들어서 냅일날 밤에 눈이 오면 이 밤엔
쌔하얀 할미귀신의 눈귀신도 냅일눈을 받노라 못 난다는 말을 든든히
녀기며 엄매와 나는 앙궁 우에 떡돌 우에 곱새담 우에
함지에 버치며 대냥푼을 놓고 치성이나 드리듯이
정한 마음으로 냅일눈 약눈을 받는다 이 눈세기물을
냅일물이라고 제주병에 진상항아리에 채워두고는 해를
묵여가며 고뿔이 와도 배앓이를해도 갑피기를 앓어도 먹을 물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엄마가 해주는 음식이 먹고 싶다. 특히 요샌 생선요리가 많이 생각난다. 조기, 갈치 조림, 꽃게탕, 간장 게장,병어찜,구워서 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일품인 박대등등.최불암 아저씨가 나오는 [한국인의 밥상]을 종종 보는데, 향수가 아니 일 수 없다.어머니의음식을그리워 하는건 모두가 마찬가지인가 보다.백석 시를 읽다보면 옛 생각이 나 빙그레 웃음이 나온다. 그처럼 난 야단 맞아가면서도 엄마가 바느질하는비단 솜 이불 위에서 뒹굴기를 좋아했더랬다. 푹신푹신한 감촉에, 그 싱긋한냄새.외갓집과 이모들과 삼춘도 생각나고. '나는 얼마나 반죽을 주무르며 흰가루손이 되여 떡을 빚고 싶은지 모른다' 참, 송편도 먹고 싶어지네, 하하.
'우엉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우창칼럼] 오늘의 정치와 인간의 공간 (0) | 2012.08.19 |
---|---|
종교 좌담 (0) | 2012.08.19 |
동생을 만나다 (2) | 2012.02.10 |
시애틀에 다녀와서 (0) | 2012.01.11 |
늦은 봄 혹은 초여름에 (0) | 2011.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