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양식


이번 학기 군산대에서 강의 두 개를 배정 받았다. 하나는 전공과목이고 다른 하나는 국제 교류실에서 의뢰한 외국 학생들 대상의 <한국의 이해>라는 수업이다. 한국의 이해라.... 누가 정했는진 몰라도 조금 난감한 제목의 수업임에 틀림없었다. 강의 방식이나 교재 선택을 나에게 전적으로 맡긴 것이어서 일단 내가 편집한 교재 표지 앞면엔 "Introduction to Korean Culture and History" 문구를 넣었다. 그게 그나마 덜 어색해 보였고 다른 미국의 어느 대학에서 같은 타이틀의 수업이 있음을 확인했다.  


현대사에 집중하기로 했다. 내가 한국을 다 이해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고 애초에 말도 안되는 일이다. 관심을 한국 전쟁과 산업화 문제로 한정시켰다. 그리고 영어로 번역된 이문열의 <<아우와의 만남>>과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몆 부분, 일조각 출판사에서 나온 Korean Old and New : A History 중에서 해방 이후 부분만을 발췌해 낱권을 만들었다.


중국학생들이 많다. 열 아홉명. 군산대와 자매 결연을 맺은 절강 해양대학과 또 하나. 산동 무슨 대학에서 왔다고 했다. 나머지 캄보디아에서 온 두 학생이 있다. 그런데 이 두 학생이 더 영어 소통을 잘하고 또 영리해 보인다. 그렇다, 문제는 모두가 영어를 잘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말도 못하는 내가 가끔 칠판에 한자를 쓰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문열의 단편을 읽다가 한국의 지역감정을 설명하는 역자의 주석을 보고 쓴 웃음이 나왔다.영호남의 갈등에 대해, "The people of Jeolla-do, in the southwest of South Korea, and of Gyeongsang-do in the southeast, descendants of the Baekje and Silla kingdoms respectively, are very much different in temperament, and there is a widespread antagonism existing between them, which produces numerous social conflicts" (28).  글쎄, 이건 사실 보도가 아닌 주장에 가깝다. 일단 나 자신은 백제에 대한 호감은 있으되 백제만이 내 조상이라 생각한 적이 없고, 영남인들에 적대감을 갖고 있지 않으며, 기실 지역마다 무슨 기질의 큰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 


지식 전달자가 벌 거 아닌 것 같으면서도 별 거 라는 생각이 이럴 땐 든다. 프란체스코 교황도 교사라는 직분의 고귀함을 얼마전 말하지 않았던가. 일단 정확한 사실을 말해야 한다. 그리고 그 표현은 논리적이고 명료해야 한다.  


임권택 감독의 <<춘향전을>>을 삼분의 이 쯤 함께 봤다. 이몽룡이 남원에 다시 돌아와 주변의 산자락을 둘러 보면서 진양조 가락의 판소리가 나오는 대목이 매우 아름다웠다. 그의 다른 영화, <<씨받이>>에서 희뿌연한 새벽에 여인이 고무신을 신고 한옥을 거니는 장면을 여전히 인상깊게 기억하고 있다. 조상현 명창이 영화속에서 무대에 올라 관객과 호흡하는 장면을 학생들도 분명 느꼈으리라 여겨진다.


새로운 내용으로, 새로운 경험을 하는 터라 적잖이 신경이 쓰인다. 대충 하라고 어느 선배가 말하지만 그 대충이라는 게 어렵다. 피로가 쌓였는지 입안에 빨간 멍울이 생겼을 땐 덜컥 걱정이 들기도 했다. 그래도 다시 아물고 일할 수 있으니 감사하지 아니한가. 


한시간 조금 넘는 시내 버스 안에서 킨들을 들여다 보는 것이 그나마 괜찮다. 책 보는데 버스가 지하철만은 못하다. 어제 읽은 Walden의 한 대목:  


As I preferred some things to others, and especially valued my freedom, as I could fare hard and yet succeed well, I did not wish to spend my time in earning rich carpets or other fine furniture, or delicate cookery, or a house in the Grecian or the Gothic style just yet. If there are any to whom it is no interruption to acquire these things, and who know how to use them when acquired, I relinquish to them the pursuit. Some are “industrious,” and appear to love labor for its own sake, or perhaps because it keeps them out of worse mischief; to such I have at present nothing to say. Those who would not know what to do with more leisure than they now enjoy, I might advise to work twice as hard as they do,–work till they pay for themselves, and get their free papers. For myself I found that the occupation of a day-laborer was the most independent of any, especially as it required only thirty or forty days in a year to support one. The laborer’s day ends with the going down of the sun, and he is then free to devote himself to his chosen pursuit, independent of his labor; but his employer, who speculates from month to month, has no respite from one end of the year to the other.


 In short, I am convinced, both by faith and experience, that to maintain one’s self on this earth is not a hardship but a pastime, if we will live simply and wisely; as the pursuits of the simpler nations are still the sports of the more artificial. It is not necessary that a man should earn his living by the sweat of his brow, unless he sweats more easier than I do.



'우엉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0) 2015.06.28
신록예찬(新綠禮讚) - 이양하  (0) 2015.06.15
김상봉 - 사랑하는 소녀에게 바치는 감사의 인사  (0) 2015.02.10
주말 덕유산 여행  (0) 2015.02.02
from ‘New Year Letter’ by W.H. Auden (1940)  (0) 201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