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유감

지금과 같은 시기에 신을 말하고 진리를 논하는 것은 고리타분하고, 비웃음과 함께 반동적(regressive)이란 소리밖에 안듣는다. 신의 사랑과 자비를 말한다면 어느 누구의 신이 들어줄까. 사람따라 신따라 다르다. 같은 기독교 축구 감독 둘--한 명은 수원의 차범근 다른 한명은 어느 누구였던가?--이 우승을 놓고 시합할 때 누구의 기도빨이 쎈가에 따라 승부가 결정될 거란 우스개 기사를 접한 적이 있다. 뼈아픈 지적이어서 마냥 웃지만은 못하였다."알라는 위대하다"라면서 사람들을 쏴죽이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왜 "알라"를 감히 들먹이나. 그러면 "여호와"는 가만있나? 싸울려면 신들끼리 싸워라, 왜 애먼 피조물이 싸우게 신(들)은 놔두는가. 파리에서 일어난 테러에서, 가령 수사학적 언론보도를 통해 내가 먼저 접하는 것은, 일단 희생된 피해자들에 대한 유감과 함께 가차없는 보복의 정당성을 말하는 프랑스 지도자의 언급이다. 일면 이해는 간다. 그런데,그렇다면 종래에 또다른 피바람이 중동 땅에 불 것이고 또 그 지겨운 악순환은 유럽과 지중해 연안에서 끊임없이 반복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누구의 책임인가? 이러할 때 수사학적 상황은 고정된 것일 수 없다. 그것은 당연히 역사적 접근의 선이해가 필요하고 어느 선까지 분석의 한계를 정할지가 논쟁거리이다. 가령, 누가 시리아 난민과 ISIS의 발흥을 서구 열강의 개입과 분리시켜 생각하겠는가? 더 나아가 오늘의 중동의 분열을 초래한 것이 과연 누구였던가? Who is the final guarantor of which rhetorical situation is the real one? What if there are infinite(or indefinite), successive meta-situations that condition the present situation?  


박근혜는 터키로 도망가고 어제 시위대 중  한 노인이 경찰의 물대포에 맞아 중태에 빠졌다는 기사를 접했다. 나와 더 가까이 있는 사실이다. 분노를 느낄 일이다. 수업때문에 <<난쏘공>>을 조금 읽고 전태일과 조영래를 다시 생각하고, 창가에 앉아 떨어진 은행나뭇잎들을 바라본다 . 



'의식의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읽기  (0) 2016.09.29
..  (0) 2016.03.21
진실을 말하기  (0) 2015.10.11
아침이 있는 삶  (0) 2015.09.01
.  (0) 2015.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