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엉이'에 해당되는 글 135건
- 2017.02.09 영화 <컨택트>를 보고
- 2017.02.03 quote from Ursula K. Le Guin
- 2017.01.28 황석영의 <<해질 무렵>> 을 읽고
- 2016.10.20 The Godfather Legacy
영화 <컨택트>를 보고
아직 이 영화의 원작인 Ted Chiang의 "Story of Your Life"라는 단편을 읽지 않았다. 영화를 보기 전에 가장 궁금했고 또 보고 나서도 가장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은 언어학자인 여주인공이 외계인의 문양 혹은 텍스트를 패턴화시켜 이해하고 또 그렇게 소통하는데 별 무리가 없었다는 것. 또 하나 납득할 수 없었던 것은 그들의 언어 사고를 이해하면서 덕분에 미래를 예지하게 되는데 그 미래의 모습이 결국 현재의 행위에 개입하는 장면. 소설을 읽고 좀 더 생각의 진도를 나가야할 듯 싶다. 관련되어 떠오르는 이론과 작품들. 벤야민의 <역사철학테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 테렌스 맬릭의 <Tree of Life>, 조지 엘리엇의 __Middlemarch__, 쿳시의 __Foe__, 이언 맥큐언의 __Atonement__, 가라타니 고진의 비대칭적 대화론 등등...
"Where were you when I laid the foundation of the world?"
"A picture held us captive"
"That element of tragedy which lies in the very fact of frequency, has not yet wrought itself into the coarse emotion of mankind; and perhaps our frames could hardly bear much of it. If we had a keen vision and feeling of all ordinary human life, it would be like hearing the grass grow and the squirrel's heart beat, and we should die of that roar which lies on the other side of silence. As it is, the quickest of us walk about well wadded with stupidity."
"The problem these fifty-nine years has been this: how can a novelist achieve atonement when, with her absolute power of deciding outcomes, she is also God? There is no one, no entity or higher form that she can appeal to, or be reconciled with, or that can forgive her. There is nothing outside her. In her imagination she has set the limits and the terms. No atonement for God, or novelists, even if they are atheists. It was always an impossible task, and that was precisely the point. The attempt was all.
I’ve been standing at the window, feeling waves of tiredness beat the remaining strength from my body. The floor seems to be undulating beneath my feet. I’ve been watching the first gray light bring into view the park and the bridges over the vanished lake. And the long narrow driveway down which they drove Robbie away, into the whiteness. I like to think that it isn’t weakness or evasion, but a final act of kindness, a stand against oblivion and despair, to let my lovers live and to unite them at the end. I gave them happiness, but I was not so self-serving as to let them forgive me. Not quite, not yet. If I had the power to conjure them at my birthday celebration . . . Robbie and Cecilia, still alive, still in love, sitting side by side in the library, smiling at The Trials of Arabella? It’s not impossible."
'우엉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선한 공기가 필요해 (0) | 2017.04.26 |
---|---|
「봄밤」 김수영 (0) | 2017.03.12 |
quote from Ursula K. Le Guin (0) | 2017.02.03 |
황석영의 <<해질 무렵>> 을 읽고 (0) | 2017.01.28 |
The Godfather Legacy (0) | 2016.10.20 |
quote from Ursula K. Le Guin
I expected that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book and the film might be a difference of pace; and it is...
Watching once again the wonderful old film Chusingura, which takes four hours to tell the (comparatively) simple story of the Forty-seven Ronin, I marveled at the quiet gait, the silences, the seemingly aimless lingering on certain scenes, the restraint that slowly increases tension till it gathers tremendous force and weight. I wish a Tolkien film could move at a pace like that. If it was as beautiful and well written and well acted as this one is, I'd be perfectly happy if it went on for hours and hours.... But that's a daydream.
And I doubt that any drama, no matter how un-whiz-bang, could in fact capture the singular gait that so deeply characterizes the book. The vast, idiosyncratic prose rhythms of The Lord of the Rings, like those of War and Peace, have no counterpart in Western theatrical writing..
So all I wish is that they'd slowed down the movie, every now and then, even just held still for a moment and let there be a rest, a beat of silence....
from "Rhythmic Pattern in The Lord the the Rings" (106-07)
'우엉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밤」 김수영 (0) | 2017.03.12 |
---|---|
영화 <컨택트>를 보고 (0) | 2017.02.09 |
황석영의 <<해질 무렵>> 을 읽고 (0) | 2017.01.28 |
The Godfather Legacy (0) | 2016.10.20 |
다시 서울로 (0) | 2016.08.21 |
황석영의 <<해질 무렵>> 을 읽고
가끔 드는 생각으로, 작가마다 창작의 전성기가 있고 그 시기가 지나면 그 때 만큼의 에너지랄까, 치열함이 이 후에 내놓는 작품엔 덜해지는게 아닐까 한다. 모짜르트와 지미 헨드릭스는 자기가 할 만큼의 에너지와 열정이 담긴 작품을 세상에 내놓고 총총히 사라져갔다. 더 살았다면 더 나은 작품을 세상에 선보였을까, 아니면 더 실망스러운 것 이었을까? 운명의 소관인가? 또 칸트나 베토벤, 도스토예프스키 같은 사상가, 작가는 비교적 길게 살아서 빛을 보았고, 그래서 자기가 할 만큼의 작품을 세상에 보여주고 갔다고 생각한다. 수작과 태작의 분계점을 자세히 논할 능력은 없다. 그저 느낌이다. 어쩌다 황석영의 최근 소설을 읽고 이런 생각을 한 번 더했다. 여러가지 의미에서 더 넓어진 것도 있지만 또 한편으론 점잖아졌다고 생각한다. 나는 그의 예전, 그러니까 감옥 가기 전의 작품들이 더 좋다. 내가 마흔 초반의 나이임에도 말년의 소회를 작품에 표현하거나 고백하는 작가들의 글을 최근에 좀 읽어서인지, 원래 그런 회한remorse에 가까운 생각이 드는 게 그 나이엔 당연한 건지 모르겠지만, 기분이 조금 묘하긴 하다. <작가의 말>에서 이 소설은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에 관한 이야기라 한다. 거기엔 지금의 청년 세대의 가난한 삶에 대한 안타까움이 묻어 있기도 하다. 제대로 사랑을 하지 못하거나 못했던, 또 그렇게 표현할 수 없거나 없었던 비슷한 두 처지의 소위 "흙수저"들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이야기라고 볼 수도 있다. 기성 세대인 주인공 '박민우'의 건축 설계사로의 '운좋은 성공'은 필시 누군가들의 희생없이는 불가능했고 그의 계급적 안도감은 폐쇄 본능으로 이어진다. 다음 세대의 불안과 절망은 다른 민우인 "김민우"의 자살로 대변된다. 그를 알았던 편의점 알바녀이자 연극 연출가인 "정우회"가 전체 서사의 연결 고리이긴 하지만 고생하는 것 말고 뭔가 통찰이 있다고 보긴 어렵다. 퍽이나 밋밋하다. 그런 사실적 측면에선 젊은 세대 작가군들에게 읽어내야 할 게 더 많을 것이다.
"내가 녀석을 보면서 느낀 것은 요샛말로 금수저를 물고 태어나면 어지간해서는 뭘 하든 한다는 것이다. 무턱대고 개판치지만 않는다면 자신의 길에서 크게 밀려나지 않는다. 나로서는 형편없는 산동네의 가난을 벗어나 전혀 다른 삶을 살았다는 것 자체가 기적이며, 그 때문에 나 같은 사람의 내면은 좀더 복잡할 수밖에 없다.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는 그러한 갈등을 달래줄 무엇인가가 필요했다. 사실 사방에 널려 있는 게 나와 같은 사람들이 아니던가. 밤에 도심지 호텔의 전망 좋은 라운지에서 고층 아파트와 붉은 십자가와 상가 건물들의 불빛으로 가득한 거리를 내려다보면 그들이 보인다. 억압과 폭력으로 유지된 군사독재의 시기에 우리는 저 교회들에서, 혹은 백화점의 사치품을 소유하게 되는 것에서 위안을 얻었을지도 모른다. 아니면 온갖 미디어가 끊임없이 쏟아낸 '힘에 의한 정의'에 기대어 살았는지도 모르겠다. 결국은 너의 선택이 옳았다고 끊임없이 위무해주는, 우리가 함께 만들어낸 여러 장치와 인물들이 필요했을 것이다. 나도 그런 것들 속에서 가까스로 안도하고 있던 하나의 작은 부속품이었다." (143-33)
'우엉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컨택트>를 보고 (0) | 2017.02.09 |
---|---|
quote from Ursula K. Le Guin (0) | 2017.02.03 |
The Godfather Legacy (0) | 2016.10.20 |
다시 서울로 (0) | 2016.08.21 |
가벼움 (0) | 2016.07.25 |
The Godfather Legacy
전체 3부작에서 마지막 편이 제일 떨어진다는 평에 대체로 동의한다. 그럼에도 2부로써 끝났으면 좀 미진하단 생각도 들었을 것이다. 인생의 덧없음과 고향 회귀와 관련된 마지막 부분은 착잡하면서도 슬픈 것이었다. 특히 잠시 피신해 온 시실리에서 현지 여인을 만나 결혼식을 올리고 잠시 행복했던 장면을 보여주는 플래시 백 장면에선 가슴이 먹먹해졌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가며, 주인공을 바라보는 감독의 회한에 감정이입이 됐다. 그래, 바로 저 눈이 크고 맑으며, 흰 셔츠가 잘 어울리는, 아름다운 청년의 모습이 마이클 혹은 알 파치노의 진짜 모습이었지 하는 생각이 들었고.
'우엉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ote from Ursula K. Le Guin (0) | 2017.02.03 |
---|---|
황석영의 <<해질 무렵>> 을 읽고 (0) | 2017.01.28 |
다시 서울로 (0) | 2016.08.21 |
가벼움 (0) | 2016.07.25 |
쌍계사행 (0) | 2016.06.28 |